예약/문의
055-715-6200
병원소식
관절씽씽! 척추씽씽!

병원소식

마산 무릎병원 반월상 연골 파열 무릎건강의 적신호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25-06-25 14:41 조회130회 댓글0건

본문

a13ac97d14416883d7a1516aa025800d_1750828810_7981.jpg
 

안녕하세요씽씽병원입니다무릎은 우리 몸에서 가장 복잡하고 중요한 관절 중 하나로, 일상생활과 운동 활동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그중에서도 반월상 연골은 무릎 관절 내에서 충격을 흡수하고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반월상 연골이 손상되거나 파열될 경우, 무릎 기능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반월상 연골이란?

     반월상 연골은 무릎 관절 안쪽과 바깥쪽에 각각 하나씩 위치한 반달 모양의 섬유 연골입니다. 이 연골은 무릎 관절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관절의 

     안정성을 높이며, 뼈끼리의 마찰을 줄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 반월상 연골파열이란?

      반월상 연골 파열은 주로 무릎을 갑자기 비틀거나 과도한 압력이 가해질 때 발생하는 손상입니다. 스포츠 활동 중 부상, 노화에 따른 연골 약화, 반복적인 

      무릎 사용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파열 부위와 정도에 따라 통증, 부종, 무릎의 불안정감, 움직임 제한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주요원인

a13ac97d14416883d7a1516aa025800d_1750829003_6645.jpg


<원인>

1. 외상 및 급성 손상: 무릎을 갑자기 비틀거나 회전시키는 동작
2. 반복적인 스트레스:무릎에 반복적으로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는 작업이나 운동
3. 노화 및 퇴행성 변화: 나이가 들면서 연골 조직이 약해지고 탄력을 잃음
4. 비만 및 과체중: 체중 증가로 인해 무릎에 가해지는 하중이 커지면서 연골 손상 위험 상승
5. 무릎 관절의 불안정성: 이전에 무릎 인대 손상이나 수술을 받은 경우


<증상>

1. 무릎 통증: 무릎 안쪽 또는 바깥쪽에 국소적으로 심한 통증이 나타납니다.
2. 부기 및 부종: 손상 부위에 염증 반응이 생기면서 무릎이 붓고 부어오릅니다.
3. 무릎 잠김 현상: 무릎이 갑자기 움직이지 않거나 ‘걸린 듯한’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4. 무릎 불안정감: 무릎이 흔들리거나 힘이 빠지는 느낌이 들어 걷기나 서기에 불편함을 겪습니다.
5. 움직임 제한: 무릎을 완전히 펴거나 구부리기 어려워 운동 범위가 줄어듭니다.


치료법

a13ac97d14416883d7a1516aa025800d_1750829535_6712.jpg
 

보존적 치료: 경미한 파열이나 초기 단계에서는 수술 없이 비수술적 치료를 우선 시행합니다.

-휴식:무릎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이고 활동을 제한합니다.

-냉찜질 및 압박: 염증과 부종 완화에 도움을 줍니다.

-약물치료: 소염진통제 복용으로 통증과 염증을 줄입니다.


수술적 치료: 보존적 치료로 증상이 호전되지 않거나, 파열이 심한 경우, 무릎 관절경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관절경 수술: 최소 침습 수술로 파열된 연골을 제거하거나 봉합합니다.

-부분 절제술: 손상된 연골 부위를 제거하여 무릎 움직임을 원활하게 합니다.

-연골 봉합술: 파열 부위가 봉합 가능한 경우 봉합하여 연골의 기능을 보존합니다.



관리방법

a13ac97d14416883d7a1516aa025800d_1750829846_4262.jpg

반월상 연골 파열은 한번 손상되면 회복이 쉽지 않고 재발 위험도 높습니다. 평소 무릎 건강을 지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예방과 관리법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꾸준한 예방과 관리가 무릎 건강 유지의 핵심입니다. 


운동 전에는 반드시 충분한 스트레칭과 워밍업을 통해 무릎을 준비시키는 것이 필요합니다. 갑작스러운 방향 전환이나 무리한 점프 동작은 피하고, 무릎에 부담을 덜 주는 수영이나 자전거 타기 같은 운동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과체중이나 비만은 무릎에 가해지는 부담을 크게 늘리기 때문에 건강한 식습관과 꾸준한 운동으로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무릎 건강에 큰 도움이 됩니다. 평소 무릎을 오래 구부리거나 쪼그려 앉는 자세는 무릎에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고, 스포츠나 무릎에 무리가 가는 활동을 할 때는 무릎 보호대를 착용해 추가 손상을 예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마지막으로, 무릎에 통증이나 불편감이 느껴진다면 이를 가볍게 여기지 말고 빠른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무릎 건강을 지키고 더 큰 손상을 막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지속되는 팔 저림과 통증, 흉곽출구증후군 때문일 수 있어요
  찾아오시는길 개인정보처리방침 비급여안내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