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파 검사로 무엇을 알 수 있을까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25-04-10 08:57 조회88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뇌파검사로 알아보는 신경학적 질환

뇌파 검사는 간질(뇌전증), 뇌종양, 뇌혈관 질환, 뇌염, 뇌막염 등 질환 진단에 도움이 되는데요. 이러한 질환이 있으면 뇌의 특정 부위에서 비정상적인 뇌파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간질의 경우 특징적인 간질파가 나타나며 이를 통해 발작 유형, 간질의 원인 부위 등을 알아낼 수 있어 뇌파 검사가 매우 중요합니다. 그리고 뇌파 검사는 의식 장애의 원인 진단에도 도움이 되며 뇌사 판정에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정신 및 행동 장애 진단과 평가 가능

정신 및 행동 장애를 진단하고 평가할 때에도 뇌파 검사가 중요합니다.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장애, ADHD는 뇌파 검사를 햇을 때 특징적인 패턴이 관찰될 수 있으며 우울증, 불안장애 환자들은 특정 주파수 대역의 뇌파에서 이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요. 예를 들어 극심한 정서 불안이 있는 경우 측두엽의 20~32Hz 대역에서 과도한 활성화를 보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스퍼거 증후군, 자폐 스펙트럼 장애, 틱 장애 등 발달 장애가 있는 경우에도 뇌파 검사를 했을 때 특징적인 패턴 관찰이 가능합니다.
인지 기능 및 학습 장애가 있는 경우

인지 기능 저하가 생기면 뇌파의 특정 패턴 변화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인지 장애, 초기 치매가 의심될 때 뇌파 검사가 유용합니다. 그리고 학습 장애가 있을 때도 뇌파검사에서 이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요. 운동 정보 처리에 문제가 있는 경우 두정엽에서 세타파가 과도하게 생길 수 있으며 시각 정보 처리의 이상이 있으면 후두엽의 시지각 패턴에서 문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난독증 등 학습 장애가 있다면 뇌파 검사로 뇌의 어떤 영역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수면 장애 및 기타 질환도 알 수 있어요

수면 장애를 진단할 때에도 뇌파 검사가 아주 중요한데요. 수면 중 발생하는 뇌파의 패턴을 분석하여 불면증, 수면무호흡증, 기면증 등 각종 수면 장애를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편두통이나 기타 두통 질환을 평가할 때에도 뇌파 검사가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뇌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 알코올 등의 중독 여부를 평가할 때에도 유용합니다. 또한 일부 자율신경계 질환, 내분비 질환이 뇌파에 영향을 주는 경우도 있어서 해당 질환 진단 보조 도구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뇌파 검사는 신경정신과적 질환의 치료에 활용되기도 하는데요. 예를 들어 환자의 뇌파 정보를 활용하여 치료에 유용한 뇌파를 훈련하는 뉴로피드백 훈련에 뇌파 검사가 필요합니다.